top of page

모든 문제의 시작은 당신이 내린 결론으로부터 비롯된다.
우리의 이원적 생각 구조 안에서는 무엇이든 결론을 내리고 정의를 내려야 편안함을 느낀다. 그것이 임시일지언정 일단 규정하고 결론을 지어야 그것을 통해 또 다른 결론을 도출하고, 또 그것을 통해서 또 다른 결론을 쌓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나말록
2024년 10월 27일2분 분량
15
0

믿음은 진실과 간극이 있을 때나 필요한 구차한 것
깨달음은 존재의 실상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다. 존재라고 하는 것은 우리의 의식에 인식되는 모든 것이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으로 나와 세상이다. 나와 세상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착각하는 것에서 벗어나, 그 본질을 확인하는 것이 우리가 말하는...
나말록
2024년 10월 19일4분 분량
6
0

삶이 허무하게 느껴진다면
어린 시절 주마등같이 지나간 그 모든 추억을 떠올려 보자. 그것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왜 그것들은 하나도 남아있지 않고 사라졌는가? 모든 것이 그렇게 사라졌는데, 그것을 기억하고 있는 나는 무엇인가? 공을 하늘로 던지면 땅으로...
Wake Here
2024년 10월 4일4분 분량
5
0


깨어난 네오의 고민 - 매트릭스와 인셉션
영화 매트릭스를 보면, 인간은 기계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이다. 배터리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면 곤란하니 인간을 수면상태로 캡슐에 가둬두고 꿈을 꾸게 한다. 만들어진 꿈은 사람들에게는 실제 세상이다. 불교의 사상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 영화는 여러...
나말록
2024년 8월 29일3분 분량
12
0


이어질 그런 것이 진짜로 따로 있는가?
살다 보면 어릴 적 추억이 꿈만 같다고 느낀다. 10여 년 전이 실제로 있었던 일인지 아니면 꿈이었는지 모를 정도로 꿈과 '실제 있었던 일'과의 차이가 그다지 다르지 않게 느껴진다. 실제로 냉철하게 살펴보면 지금 이 순간에는 10년 전도 없고...
나말록
2024년 8월 19일4분 분량
10
0


변화의 역설 그리고 깨어남
흔히 “변한다”는 말을 들으면, 우리는 어떤 존재하는 무언가가 실제로 변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조금만 깊게 생각해보면, 변한다는 것 자체가 변하는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역설 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무언가가 변한다고 말할 때, 우리는...
나말록
2024년 8월 15일2분 분량
6
0


깨달음의 본질: 공(空)을 바라보는 관점
깨달음은 존재의 실상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다. 존재라는 것은 우리의 의식에 인식되는 모든 것이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으로 나와 세상이다. 나와 세상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착각하는 것에서 벗어나, 그 본질을 확인하는 것이 우리가 말하는 깨달음이다. 그...
나말록
2024년 7월 28일3분 분량
19
0


외면하거나, 마주하거나
중학교 시절, 트럭 뒷바퀴에 깔린 여자아이를 눈앞에서 목격한 이후로 꽤 오랜 기간 트럭의 뒷모습이 두려웠다. 지금으로 치면 트라우마라는 그럴싸한 말로 이해되지만, 당시에는 그냥 스스로 극복해야 할 나쁜 기억 정도로 알고 견뎌냈다. 이런 극단적인...
나말록
2024년 7월 14일3분 분량
12
0


보편성을 의심하는 용기
반사회적인 생각 아무래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매일 마주하는 현실과 실상의 괴리는 좀처럼 넘기 힘들어 보입니다. 지금 마주하는 현실이 사실은 꿈과 같다고 얘기하면 믿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석가모니도 50년을 넘게 그러고...
나말록
2024년 6월 24일4분 분량
1
0


과학적 탐구로 깨달음이 가능할까?
불교와 양자역학 요즘은 불교와 과학의 공통점을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과학을 탐구하다가 발견한 사실이 불교의 가르침과 유사하다는 것이죠. 그래서 서점에 가보면 비슷한 주제의 책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주제가...
나말록
2024년 6월 24일3분 분량
2
0


토모나오를 아시나요?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석가모니 가르침의 핵심은 연기법이다. 연기법은 존재의 실상을 깨닫게 하는 가장 중요한 가르침이지만, 그 설명은 매우 단순하다. 단순한 만큼 오해도 많다. 此有故彼有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전부다....
나말록
2024년 6월 24일3분 분량
2
0


깨닫는 시간 10년 줄이기
그물에 걸려 죽더라도, 도대체 그 그물이 뭔지 알고나 죽으면 억울하지는 않을지 모른다. 결국, 걸려 죽거나, 탈출하거나, 혹은 바람처럼 자유로워지거나. 이 글을 읽는 짧은 시간 동안 당신은 셋 중 하나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혹시라도 그것이...
나말록
2024년 6월 24일3분 분량
3
0


분별이 없으면 깨닫게 될까?
분별에 대한오해 명상이나 마음공부를 하다 보면 가장 많이 듣는 소리 중에 하나가 분별심을 내려놓으라는 말이다. 워낙 자주 듣는 말이라서 한편으로는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말 중에 하나다. 분별심은 깨달음과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나말록
2024년 6월 24일4분 분량
2
0
bottom of page